모니터링 썸네일형 리스트형 눈 씻고 찾아보는 서울시 제비모니터링 제비는 날아다니면서 해충을 잡아먹어주고, 습지의 진흙으로 집을 지으면서 사람과 더불어 사는 여름철새입니다. 오래전부터 사람들 곁에 머물며 맘씨 좋은 흥부에게 행운의 박씨를 물어다 주던 제비는 지금은 도시에서 찾아보기 어려워졌어요. 진흙도, 둥지를 틀 지붕처마도 사라지는 서울로, 그래도 봄을 맞아 다시 돌아오는 제비들이 있어요. 서울이 제비들에게 친절한 도시가 될 수 있을까요? 올해도 기대를 품고 제비를 찾으러 갑니다. 더보기 우리동네 개구리를 찾아라! 뭍과 물을 오가며 살아가는 양서류는 생태계의 '허리'라고 불리지만,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에 취약하고 무엇보다도 이들이 살기좋은 습지를 메워버리는 도시개발 때문에 멸종위기에 몰려있는 생물들이기도 합니다. '개구리탐사대'는 주민들이 식구들과 동네를 산책하며 개구리소리를 을었을 때 녹음해서 위치를 제보하거나 개구리를 보면 사진을 찍어 살고 있는 연못이나 웅덩이의 위치를 공유하는 서식지 탐사 미션이예요. 가족이 함께 하면 좋은 활동이라, 우리나라의 양서류의 특징이나 습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현장강의에는 가족단위 참가자들이 믾았습니다. 참가자들의 기록은 자연관찰앱 '네이처링'으로 공유했어요. 여름에서 개구리들이 겨울잠을 자러 가는 가을무렵까지 진행된 프로젝트에는 모두 120건이 넘는 관찰기록이 있었습니다. 큰.. 더보기 도시공원은 생물들의 보금자리가 될수 있을까- 시민참여 공원모니터링 21년에 이어 22년에도 생물다양성우수공원 모니터링을 시민참여로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물푸레생태교육센터는 광진구의 서울어린이대공원과 동대문구의 간데메공원의 모니터링을 맡게되었습니다. 어린이대공원에는 20명, 간데메공원은 10명의 시민들이 참여 식물과 조류 두 분야로 나누어 활동했어요. 지도해주신 전문가는 민성환(식물), 고대현(조류) 선생님입니다. 공원별로 5번씩 모니터링했는데요, 활동의 목적은 생물상 모니터링을 통해 도시공원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는데에 있어요. 4월부터 11월까지 꾸준히 참여하신 시민들은 그동안 사람들이 건강이나 휴식을 위해 찾는 곳이라고만 생각했던 도시공원이 실은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는 보금자리이며, 사람 이외의 생물들과의 공존을 위한 관리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더보기 남동부지역 생물다양성 시민모니터링단 모집공고 신청서 제출하기 (클릭하셔서 양식 제출하시면 신청됩니다) 시민들이 많이 찾는 주요 공원의 지속 가능한 생태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 시민모니터링단을 모집합니다. 시민단체 및 전문가와 함께 생물다양성 지표에 근거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진행합니다. * 신청자격 : ○ 초등학생 이상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람, 또는 서울시 소재 직장이나 학교에 재직 (재학)중인 사람 ○ 서울의 생태보전에 관심이 있고, 지속적인 활동(주말 등)이 가능한 사람 ※ 5월부터 12월까지 2개월에 1~2회씩(OT, 성과공유회 포함) 참여 가능자 ※ 지자체, 정부 및 시민단체 등에서 모니터 활동경력이 있거나 생태‧자연환경 보호분야 근무경력 또는 자격증이 있을 경우 적극 환영합니다 ※ 2019년, 2020년에 ‘생물다양성 공.. 더보기 2020년 개화산 모니터링이야기 강서구 위치한 꽃을 닮은 아름다운 산 개화산 몇 년 전 개화산 계곡에 개구리를 이주시키고 난 뒤 돌보지 않던 곳을 강서 물푸레생태교육센터는 모니터링을 시작했습니다. 산개구리 종류에 계절에 따른 개구리 산란과 번식 주변 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어요. 매년 구정을 기준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산개구리 산란시기에는 주 1회/ 5월 이후에는 월 1회 정도로 참개구리와 생물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물푸레 회원들로 이루어진 강서 하늬가람 모임은 생물상 모니터링을 통해 서식 생물과 주변 학생들의 교육까지도 연계해서 진행하고 있고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한해의 모니터링을 통해 새롭게 발견되는 가재와 서식지가 넓어진 도롱뇽 등을 확인하고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곳도 개화.. 더보기 금개구리논 육상곤충전문가 조사 금개구리논 육상곤충전문가 조사 10월 9일 잠자리 전문가 김태우 박사님을 모시고 교육활동가들이 금개구리논에서 모였다. 금개구리 논은 멸종위기 개구리와 농부가 더불어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기위해 올해로 2년째 자연농법을 실천하는 물푸레공동체 논이다. 물푸레생태교육센터는 관행논과 금개구리논의 차별성을 생태계에서 찾고 싶어서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논 생물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늘, 파아란 가을 하늘에 뭉게구름이 두둥실 떠있어 모여든 교육활동가들의 열정 또한 두둥실 뜬 것 같다. 박재선국장님의 설명과 박사님의 안내로 잠자리채를 하나씩 손에 들고 논을 돌며 곤충들을 채집 봉투에 통에 넣어 원두막으로 모여들었다. 곤충조사를 통해 40여종의 육상 곤충이 관찰되었다. 쌕쌔기. 논거미 등 포식자를 활용한 채충구제농법.. 더보기 혁식파크에 새입주자 지렁이!! 혁식파크에 새입주자 지렁이!! 물푸레생태교육센터가 혁신파크에서 오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지렁이가 입주를 했다. 혁신파크 입주자들이 음식쓰레기를 버리기가 번거로워 힘들어 하는 것을 보고 물푸레교육센터가 생각해 낸 방법이다. 15년을 지렁이 교육을 한 풀피리가 지렁이를 분양해 오고 토양을 가져와 1차적으로 4층에 먼저 설치를 하고 성과가 좋으면 각층마다 설치를 하려 한다. 많은 관심과 참여 속에 교육을 했고 개인적으로 가정에서도 지렁이를 키우며 자연도 살리고 경제도 살리는 방법이 참으로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을 한 분들의 문의도 많았다. 앞으로 이 혁신파크 입주자들과 함께 지렁이를 잘 관리해서 쓰레기 선순환이 되기를 기대 한다. 풀피리가 지렁이에 대한 교육을 혁신파크 입주자들에게 하고 있다. 음식.. 더보기 161223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12. 23 08:10~13:35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박광문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20과 30종 번호 종명 학명 1지역 2지역 3지역 4지역 총합 1 꿩 Phasianus colchicus karpowi 1 1 2 큰기러기 Anser fabalis serrirostris 153 400 553 3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platyrhynchos 1 1 4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zonorhyncha 5 8 13 5 왜가리 Ardea cinerea jouyi 1 2 3 6 대백로 Egretta alba alba 1 1 1 3 7 황조롱이 Falco tinnuncu.. 더보기 161125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11. 25 08:10~15:35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19과 33종 번호 종명 학명 1지역 2지역 3지역 4지역 총합 1 꿩 Phasianus colchicus karpowi 1 1 2 2 큰기러기 Anser fabalis serrirostris 5 5 10 3 왜가리 Ardea cinerea jouyi 2 2 1 5 4 대백로 Egretta alba alba 2 2 5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 2 2 6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cyaneus 1 1 7 새매 Accipiter nisus nisosim.. 더보기 161026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10. 26 08:00~15:0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정성욱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20과 37종 1아종 * 천연기념물 : 323-4호 새매, 323-8호 황조롱이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 큰기러기, 새매 ▶ 전경사진 더보기 160930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9. 30. 08:00~14:0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21과 39종 (+1아종) 종명 학명 개체수 꿩 Phasianus colchicus karpowi 4 큰기러기 Anser fabalis serrirostris 16 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nycticorax 1 왜가리 Ardea cinerea jouyi 1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8 중백로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 1 쇠백로 Egretta garzetta garzetta 7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interst.. 더보기 160825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8. 25 08:30~14:1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정성욱, 류한나, 차두원, 장재웅 ** 이번 모니터링은 물푸레생태교육센터 회원인 차두원님과 소모임인 24절기 탐조교실에 참여 중인 장재웅님, 인턴 활동 중인 류한나님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18과 27종 * 천연기념물 : 323-7호 매, 323-8호 황조롱이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 : 매 ▶ 전경사진 더보기 160728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7. 28 08:00~14:4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정성욱, 류한나, 김승자, 이진아, 김지은 ** 이번 모니터링은 탐조 소모임 회원분들과 인턴 활동 중인 류한나씨와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16과 26종 * 천연기념물 : 323-8호 황조롱이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 새호리기 ▶ 전경사진 더보기 160705 김포공항습지 맹꽁이 모니터링 끊임없이 비가 쏟아지던 7월 5일의 화요일 잠시 소강상태인 틈을 타서 김포공항습지로 맹꽁이 모니터링을 다녀왔습니다. 비가 많이 내린터라 물이 많이 불어 있었고, 습지 안쪽으로는 들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우선 청음으로 맹꽁이의 개체수를 파악하였고, 접근이 가능했던 담장 밑에서는 육안으로 맹꽁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범람한 수로 옆 산책로에서는 맹꽁이 올챙이도 확인할 수 있었고, 모니터링 중에 저공비행 중인 뜸부기 수컷 한 마리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 또한 갑자기 불어난 물에 대비를 못한 것인지 뭉쳐있는 개미떼를 발견하기도 하였습니다. 더보기 160630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6. 30 08:00~14:0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정성욱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21과 33종 * 천연기념물 : 323-8호 황조롱이, 327호 원앙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 새호리기 ▶ 전경사진 더보기 2016. 5. 16 서울혁신파크탐조 사무실 밖에서 쇠솔새의 소리가 들려옵니다 더보기 2016. 5. 5 서울혁신파크 탐조 입하. 여름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시기.혁신파크의 하늘에는여름 철새인 파랑새의 날개짓. - 파랑새, 울새, 흰배멧새 더보기 2016. 5. 3 서울혁신파크 탐조 비오는 날의 혁신파크. 울새의 소리가 들린다. 딱새와 청딱다구리도. 더보기 2016. 4. 29 서울혁신파크 탐조목록 2016. 4. 29 서울혁신파크 탐조 집비둘기 멧비둘기 청딱다구리 까치 박새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딱새 참새 노랑할미새 지빠귀류(경계음) 더보기 2016. 4. 26 서울혁신파크 탐조목록 장소 : 서울혁신파크 날짜 : 2016. 4. 26 멧비둘기 쇠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물까치 까치 박새 직박구리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큰유리새 딱새 노랑할미새 더보기 160422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김포공항습지 조류조사 ▶ 조사일시 : 2016. 4. 22 08:40~15:00 ▶ 조사지역 : 서울시 강서구 ~ 부천시 오정구 골프장 건설 예정지역 ▶ 조사자 : 이광문, 정미향, 조기정, 이상진 ▶ 조사구역 ▶ 관찰종 : 총 22과 33종 종명 학명 개체수 꿩 Phasianus colchicus karpowi 8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zonorhyncha 12 왜가리 Ardea cinerea jouyi 6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3 민물가마우지 Phalacrocorax carbo sinensis 2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interstinctus 4 조롱이 Accipiter gularis gularis 1 새매 Accipiter ni.. 더보기 선일여고 은평구 양서류 모니터링 "도롱뇽이 뭐에요?" "그거 있잖아. 길쭉한 거." "도롱뇽이 있어요? 한 번도 못봤는데?" 마을엔 아직 소중한 생명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 집 뒷산은 모든 생명의 공유공간입니다. 은평구의 학생들과 마을의 양서파충류 서식처를 조사해 갑니다. 더보기 네이처링 등록방법 우선 네이처링에 가입 후, 미션을 클릭하여 어디에 올릴지를 결정합니다. 은평구 생태(정혜주)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은평의 생태(박의서)는 아닙니다) 미션 참여를 클릭합니다. [은평구 생태] 미션에 관찰을 올립니다. 생태분류를 선택하고 종의 이름을 적습니다. O : 계곡산개구리 / X : 올챙이, 개구리알 사진등록에서 조사구 마다 가장 대표적인 사진을 올립니다. GPS를 켜고 사진을 찍은 경우 관찰위치를 적지 않아도 자동으로 올라갑니다. 게시 전에 [은평구 생태]에 체크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올립니다. 더보기 갈현근린공원 생물종 모니터링 일 시 : 2015. 9. 19(토) 16:00~17:00 장 소 : 갈현텃밭과 갈현근린공원 조사자 : 분야별 전문가와 은평주민 - 목본식물 : 안철 - 초본식물 : 원진희 - 텃밭식물 : 유희정 - 야생조류 : 서정화, 김성호 - 양서류 : 박재선 - 수서생물 : 권순직 - 곤충 : 김태우 조류 : 12과 18종 과 종명 비고 한국 적색목록 매과 새호리기 멸종위기 Ⅱ 4.취약(VU) 비둘기과 멧비둘기 딱다구리과 쇠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서울시 보호종 청딱다구리 서울시 보호종 때까치과 때까치 까마귀과 어치 까치 큰부리까마귀 박새과 박새 서울시 보호종 쇠박새 오목눈이과 오목눈이 직박구리과 직박구리 휘파람새과 노랑눈썹솔새 솔새 동고비과 동고비 솔딱새과 쇠솔딱새 참새과 참새 양서류 과명 종명 개체수 개구리과 참.. 더보기 9월 강서습지생태공원 조류 모니터링 강서습지생태공원 조류 모니터링 1. 날짜 : 2015.9.20 9:00~12:30 2. 장소 : 방화대교 남단~강서습지생태공원 3. 참석자 : 꼬까새 이광문, 청개구리 정미향, 풀피리 박재선, 숲사랑 김미현, 수현 김승자, 티거 송현섭, 옹달샘 이진아 4. 관찰종 (총 28종 358개체)원앙 3청둥오리 3흰뺨검둥오리 98왜가리 8중대백로 1중백로 1쇠백로 4민물가마우지 6황조롱이 1새매 1삑삑도요 1깝작도요 2괭이갈매기 20멧비둘기 7물총새 1쇠딱다구리 1오색딱다구리 1때까치 2까치 50박새 4직박구리 5노랑눈썹솔새 2솔새 4붉은머리오목눈이 쇠솔딱새 1참새 90알락할미새 1집비둘기 40 5. 정리 - 9목 19과 28종 - 천연기념물 : 3종 - 원앙(327), 황조롱이(323-8), 새매(323-4) .. 더보기 150306 진관사습지 산개구리 모니터링 더보기 15/02/27 이말산 양서류 산란처 조성 인간이 막아버린 물길 흙으로 차버린 물길 그곳에 작은 웅덩이로 원래 살던 양서류가 알을 낳을 수 있도록 더보기 이전 1 다음